총기수입 영어 sweep 유래설 (feat. hubba hubba)

총기수입 영어 sweep 유래설 (feat. hubba hubba)

rmbutp 0 132

 



20190827-001-e1566887797230.jpg



 



총기수입(X)



 



총기손질(O)



 



다운로드 (6).jpg



총기수입은 일본어 테이레(手入れ:고치다, 손질하다)에서 한자 手入만 남아서 '수입'이라는 발음만 남은 합성어임. 



 



그래서 시시때때로 국방부에서 총기수입 그만하고 총기손질합시다! 라고 공문내려보내는데



 



되게 안 바뀌는게 이 '총기수입'임. 



 



총기수입의 수입은 일본어 '테이레'에서 유래한게 맞음. 



 



 



 



근데 이걸 육군OOOO학교에서 ppt 띄워서 총기수입의 수입은 영어 sweep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교육했던 시절도 있었음. 



 



한국인들이 일본에서 뭔가 유래했다는 걸 지극히 싫어하는 감성이 작용했던 것일까?



 



아무튼 그런 터무니없는 '총기수입의 수입은 알고보니 영어 sweep이었다'라는 썰이 한동안 돌았었음. 



 



완전 돌아버린거지.



 



99A2344B5BC8883303.png



 



sweep에 청소한다는 개념은 있는건 사실이야.



 



그런데 이것은 '쓸어서' 청소한다는 개념이지. 닦고 기름칠하는 개념이 아님. 



 



다운로드 (5).jpg



 



야구에서 상대편에게 한 게임도 내주지 않고 연승을 차지하는 것을 두고 '스윕'했다고도 함. 



 



쓸어버렸다는 거지. 닦고 기름칠했다는 개념의 확장이 아님.



 



RXHKUHQ2QJGVHNH6MJRDERJCMQ.jpg



 



영어권에서도 총기를 손질한다고 할 때는 'clean'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sweep은 갖다쓰지 않음. 



 



유독 한국군 일부에서만 총기 수입의 수입이 알고보니 영어의 sweep이었다! 일본어의 手入れ가 아니어따! 이러고 있는데



 



웃긴 일이라고



 



발음의 유사성과 개념 일부분이 통한다는 것에서 이상한 민족적 자존심을 찾으려고 영어를 동원해서 갖다 쓴 거 아닌가?라는게 내 감상이야.



 



그냥 '총기손질'이라고 하면 아무 문제없는데 말이지. 



 



 



40cda9d9d2cb4d7289e.png



 



발음 유사성, 의미 유사성 따지고 엮기시작하면 한도끝도 없어.



 



 



 



 



 



최근 '허버허버' 영어 유래설이 등장하는데



 



hubbahubba.png



 



이런 영단어가 존재하는 건 사실이야. 사실인데



 



이 단어는 우리나라에서도 굉장히 오랫동안 사용되어왔어.



 



 



다운로드 (4).jpg



 



한국 사진업계에서 '허바허바사장'이 가지는 위상은 엄청나다



 



Cap 2021-03-12 13-25-38-029.png



 



이 업체의 상호명인 '허바허바'가 영단어 hubba hubba야



 



unnamed (19).jpg



images (9).jpg



images (8).jpg



images (7).jpg



 



 



지방에 있는 사진관들은 분점같은게 아니고 따라쟁이들이라고 봐야지. 



 



 



위키백과 '상호권' 항목에서도 이 '허바허바' 사진관이 등장하는데



 



https://ko.wikipedia.org/wiki/%EC%83%81%ED%98%B8%EA%B6%8C



 



Cap 2021-03-12 14-53-23-174.png



 



상호권의 부정사용목적이 인정된 아주 유명한 판례임. 1964년 대법 판례.



 



 



 



41306249_XJE0LjLNRZZjt1vZRfAYGxhdR-kFKyMtAML9PlAdRpk.jpg



 



돈 겁나게 벌어서 빌딩도 세우고 현재도 강남에서 영업중인데, 



 



아무튼 국내에서 hubba hubba는 '허바허바'로 오래도록 통용되었고



 



도중에 '허버허버'와 혼용되어 사용된 적도 없어. 



 



Cap 2021-03-12 14-47-51-119.jpg



현재 구글에서 '허바허바'를 치면 사진관이 아니라 텐트가 먼저 나오는데



 



이건 최근 상품이라 취급점이 많으니까 그렇지. 



 



이것도 hubba hubba인데 국내 상품명을 '허바허바'로 잡았어.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텐트라서 hubba hubba라는 이름을 붙인 거고 한국 업자는 자연스럽게 '허바허바'라고 쓴 거지. 



 



 



Cap 2021-03-12 15-04-56-350.jpg



 



영어로 쳐도 이렇게 나옴. 신상품 파워.



 



 



013dbdcdb27e39d8eded51b30c0818e7.png



 



이거는 '허버허버'에다가 'hubba hubba'를 갖다붙인것에 불과해.  



 



hubbahubba.png



 



겹치는 의미가 있긴하지



 



하지만 'sweep'처럼 일부 개념만 통하는 것 뿐이지



 



정확하게 의미가 통하지도 않고



 



실제 영어권에서 현재 한국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사용되는 표현도 아님.



 



Cap 2021-03-12 15-04-56-350.jpg



 



정통적으로 '빠른' '즉시'에 해당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고



 



Cap 2021-03-12 15-06-57-027.jpg



 



북미에선 뭔가 상대에게 야릇한 흥분상태를 표현하는게 'hubba hubba'이기도 해.



 



images (10).jpg



이런 감정상태를 표현하는 속어로 많이 쓰인다고.



 



현재 한국 인터넷상에서 사용되는 '허버허버'의 용례와는 전혀 합치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지. 



 



무슨 '음식'과 연계된 의태, 의성어 같은게 아니야. 



 



images (11).jpg



 



오늘 바로 원나잇 뜨고싶다!는  뜻이라고.



 



 



 



 



 



3줄요약



 



1. 좋아 좋아! 빨리빨리 급히! 즉시 등의 의미를 가진 영단어 hubba hubba가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다.



2. 한국에서 영단어 hubba hubba는 본 의미 그대로 '허바허바'라는 표기로 현재까지 통용되고 있다.



3. 현재 '허버허버'관련해서 영단어 hubba hubba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은 총기수입 영어 sweep 유래설 처럼 억지 주장에 불과하다. 



 



 



0 Comments
Category
1
회원랭킹 TOP 10!
접속자통계
  • 현재 접속자 847(20) 명
  • 오늘 방문자 5,118 명
  • 어제 방문자 5,580 명
  • 최대 방문자 43,773 명
  • 전체 방문자 7,818,044 명
  • 전체 게시물 208,296 개
  • 전체 댓글수 54,768 개
  • 전체 회원수 64,938 명
1
2
3